이제 설 명절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.
다들 명절 준비 시작하고 계시나요?
조상님들을 위한 제사상을 차릴 때 마다 순서가 헷갈리는 분들 많으시죠.
오늘은 매번 헷갈리는 제사상차림법과 음식 순서를 올려보겠습니다.
이건 기본적인 제사상차림법이고요.
지역이나 가정마다 조금씩 다르기도 하니 참고하시면서 준비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제사상 차례상 순서
우선 먼저 음식을 준비하기 전 몸 마음 가짐을 단정히 하고 정갈하게 준비합니다.
나와있는 것처럼 정해진 음식을 모두 똑같이 올려야 하는 건 아니지만 순서는 지켜야 합니다.
먼저 대문을 열어 놓고 제사상의 뒤쪽(북쪽)에 병풍을 치고 제사상 위에 제수를 진설합니다.
제사상은 신위가 있는 쪽을 북쪽으로 봅니다. 신위를 기준으로 1~5번째 줄까지 차례대로 보시면 됩니다.
1. 첫 번째 줄- 식사류인 밥(메), 국(갱), 떡국, 술잔, 시접(수저와 대접), 떡
▶ 제사때는 밥과 국을, 차례상인 설에는 떡국, 추석에는 송편을 올립니다.
▶ 신위를 기준으로 볼때 우측(西쪽)에 밥(메)을 놓고, 좌측(東쪽)에 국(갱)을 놓습니다.
▶ 밥과 국의 위치는 산 사람과 반대로 놓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▶ 밥은 그릇에 담아 뚜껑을 덮습니다. 국은 대게 뭇국을 많이 합니다.
2. 두 번째 줄- 전, 구이
▶ 전은 고기전, 생선전을 준비합니다.
▶ 적은 육적(육류)→어적(어류)→소적(두부, 채소류) 순으로 올립니다.
▶ 구이는 조기, 쇠고기, 닭 등을 씁니다.
▶ 비늘이 있는 생선을 올립니다.(비늘이 없는 장어나 메기 등을 좋지 않습니다.)
▶ 붉은 살 생선과 '치' 자가 들어가는 생선을 올리지 않습니다.(꽁치, 삼치가 예로부터 생선 중에서도 저렴한 생선이라 여겨 올리지 않습니다.)
▶ 어동육서: 생선(어류)은 동쪽, 육류는 서쪽에 놓습니다.
▶ 두동미서: 생선 머리는 동쪽을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놓습니다.
3. 세 번째 줄- 탕 종류
▶ 3 종류의 탕이 올라가는데 육탕(육류)→소탕(두부, 채소류의 탕)→어탕(어류) 순으로 올립니다.
4. 네 번째 줄- 포, 나물, 김치 등 반찬류
▶ 좌포우혜: 좌측에는 포(북어, 대구포, 육포 등), 우측에는 식혜나 수정과를 놓습니다.
▶ 어포의 경우 등이 위로 가게 담습니다.
▶ 고사리, 시금치, 도라지(콩나물, 무나물, 숙주를 쓰기도 합니다.) 삼색나물 3가지를 한접시에 담고 그 다음에 간장(청장), 침채(나박김치, 겨울에는 동치미)를 올립니다.
▶ 마늘, 고춧가루, 후추, 파는 쓰지 않고 간장과 소금으로만 간을 합니다.
5. 다섯 번째 줄- 대추, 밤, 과일 등 후식
▶ 조율이시: 좌측부터 대추, 밤, 배, 감(곶감), 사과 순으로 올립니다.
▶ 홍동백서: 붉은 빛의 과일인 사과 등은 동쪽으로 흰색 빛의 과일은 서쪽으로 놓습니다.
▶ 그 외의 올리고 싶은 과일은 정해진 순서가 없으나 과일, 넝쿨과일 순으로 올리면 되고 과일의 맨 끝에는 유과(과자류)를 놓습니다.
▶ 과일의 수는 홀수로 올리며 대추나 밤은 수북이 사용하지만 배, 감, 사과는 보통 5개나 7개 정도로 사용합니다. 과일의 크기가 크다면 3개 정도도 무방합니다.
6. 향상
▶ 검은색으로 칠해진 작고 다리가 낮은 네모난 상으로 준비합니다.
▶ 향상에는 축문, 향로, 향합을 올리며 그 밑에는 강신잔, 모사기(퇴주그릇), 제주(술)를 놓습니다.
주의사항
▶ 제사 상차림 중에 음식이나 과일이 바닥에 떨어진 건 제사상에 올리지 않습니다.
▶ 마늘, 고춧가루, 후추, 파, 복숭아는 혼을 쫒는 음식이므로 올리지 않습니다.
▶ 식혜, 탕, 면 등은 건더기만 사용합니다.
▶ 제사상 음식은 찬 음식에서 뜨거운 음식 순으로 놓습니다.
▶ 떡은 보통 시루떡을 쓰는데 일반 붉은 팥이 들어간 시루떡이 아닌 노란 고물을 사용한 시루떡을 사용합니다.
▶ 술은 맑은 술을 쓰는데 보통 청주를 많이 준비합니다.
▶ 제사 때 사용하는 식기는 산 사람이 쓰는 식기와 같이 사용하면 안됩니다.
▶ 예의를 갖추어 양말은 꼭 신어야 합니다.